야구 | 투수에 대한 규정 (승리투수, 세이브, 평균자책점, 보크)
야구를 보는데 기초적인 룰 중에 투수에 대한 규칙을 정리해봤습니다.
승리투수 요건
선발 투수
1) 5이닝 이상 투구 - 선발 투수가 승수를 얻기 위해서는 5이닝 이상을 투구해야만 합니다. 그 전에 강판되면 요건충족이 안됩니다.2) 리드 유지 - 선발 투수가 마운드를 내려갈 때 팀이 리드를 하고 있어야 하며, 이 후에도 리드를 상대 팀에 빼앗기지 않아야 합니다. 한 번이라도 동점이 되면 리셋됩니다.
구원 투수
1) 경기의 결정적인 시점 - 가장 결정적인 순간에 경기에 등판해 상대의 추격을 저지하고, 팀의 리드를 뺏기지 않고 유지한 경우 승리 투수로 인정됩니다.2) 투구 이닝 제한 없음 - 구원 투수는 선발 투수와 달리 투구 이닝에 제한이 없습니다.
3) 기록원 판단 - 리드를 잡기 전에 마지막으로 투구한 선수가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했을 경우, 그 이후에 올라온 선수 중 가장 효과적인 선수에게 기록원이 판단하여 승투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세이브
1) 팀의 리드 - 마무리 투수가 등판했을 때 지고 있거나 동점이라면 세이브를 기록할 수 없습니다.2) 1이닝 이상 - 최소 1이닝 이상 등판해야 합니다.
3) 경기 종료 시점 - 경기 종료 시점이란 팀이 리드를 지키고 있고 더 이상 역전 가능성이 없는 상황을 말합니다.
4) 3점 차 이내 - 투수가 등판할 때 팀의 리드가 3점 차 이내여야만 세이브를 기록
5) 실점 없이 마무리 - 투수는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 해야만 합니다.
평균자책점
2000년대 중반까지 '방어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2010년대부터는 평균자책점(ERA)란 용어로 바뀌었습니다.평균자책점은 투수가 한 게임(9이닝) 당 내준 평균 자책점입니다.
보크
보크는 베이스에 주자가 있을 때 투수의 반칙 투구 행위를 말합니다. 보크를 범하면 루상의 모든 주자들이 한 루씩 더 진출합니다.
1)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일으키다가 투구를 하지 않을 경우
2) 투구자세를 취한 후 실제로 투구하거나 베이스에 송구하지 않고 공에서 손을 떼었을 경우
3) 축이 되는 발을 투수판 뒤에 두거나, 투수판에 발을 대지 않고 투구한 경우
4) 투수가 타자 쪽으로 얼굴을 향하지 않고 타자에게 투구한 경우
5) 투수가 불필요하게 경기를 지연시킨 경우
6) 공을 갖지 않고 투수판에 서거나 떨어져서 투구 흉내를 내는 경우
7) 투수판에 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공을 떨어뜨린 경우
8) 고의사구 진행 중 포수석 밖에 있는 포수에게 투구를 한 경우 (포수의 두 발이 모두 포수석 안에 있어야합니다.)
9) 주자 상태가 바뀌기 전 타임을 포함하여 총 3번 투구판을 이탈한 경우
견제 관련
10) 투수가 1루나 3루에 견제구를 던지는 흉내만 내고 던지지 않는 경우
11) 견제를 할 때 견제를 하려는 루의 방향으로 발을 정확히 내딛지 않고 던진 경우
12) 주자가 없는 루에 공을 던지거나, 흉내를 낸 경우
13) 투수가 견제 도중 루방향이 아닌 야수에게 송구 한 경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