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OTT 서비스인 티빙과 웨이브의 역사와 지배구조, 요금제, 합병, SBS 콘텐츠 전면 종료 등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티빙 (TVING)
방송사와 통신사 연합(tvN, JTBC, KT)인 OTT 서비스역사
- 2010년 CJ 헬로비전에서 시작
- 2016년 운영사가 CJ E&M으로 변경
- 2020년 10월 CJ ENM의 자회사로 설립
- 2021년 네이버의 티빙 합류
- 2023년 웨이브와 합병 추진
- 2024년 애플 TV+의 제한적 합류 (최상위 요금제 구독자에 한함)
지배구조
- CJ ENM (48.85%) - tvN
- KT스튜디오지니 (13.54%)
- JC파트너스 (13.54%) - 사모펀드
- SLL (12.75%) - 에스엘엘중앙 주식회사는 중앙그룹(중앙일보, JTBC)의 산하의 콘텐츠 제작사
- 네이버 (10.66%)
티빙 요금제
- 광고형 스탠다드 - 5,500원
- 베이직 - 9,500원
- 스탠다드 - 13,500원
- 프리미엄 - 17,000원
더블 요금제 (Tving + Wavve)
- 광고형 스탠다드 - 7,000원 (1,500원 차이)
- 슬림 - 9,500원
- 베이직 - 13,500원 (4,000원 차이)
- 스탠다드 - 15,000원 (1,500원 차이)
- 프리미엄 - 19,500원 (2,500원 차이)
웨이브 (Wavve)
KBS, MBC, SBS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OTT 서비스역사
- 2019년 지상파 3사의 POOQ과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oksusu가 통합하여 서비스 시작
- 2023년 TVING과의 합병 추진
- 2024년 9월 지상파 3사와 맺었던 콘텐츠 계약이 만료됨
- 2025년 9월 30일 SBS 콘텐츠 전면 종료
SBS 콘텐츠 전면 종료
25년 9월을 마지막으로 기존에 올라와있던 모든 SBS 콘텐츠와 방영중인 SBS 콘텐츠가 모두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케이블 채널은 계속 서비스가 유지되어 '나는 솔로'와 같은 프로그램은 시청 가능합니다.
SBS콘텐츠는 넷플릭스나 SBS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단점은 방영일과 시차가 존재하며 실시간 방송이나 2022년 이전 콘텐츠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지배구조
- SK스퀘어 (40.5%)
- 한국방송공사 (19.8%)
- 문화방송 (19.8%)
- SBS (19.8%)
요금제
- 베이직 - 7,900원
- 광고형 스탠다드 - 5,500원
- 스탠다드 - 10,900원
- 프리미엄 - 13,900원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