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드라마 작가들 작품과 원고료 (김은숙, 박지은, 김은희 등)


    인기드라마 작가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들의 작품과 작품 회당 수입은 얼마인지 정리해봤습니다.
    인기드라마작가

    김은숙


    작품

    신사의 품격, 시크릿 가든, 상속자들, 태양의 후예,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더 킹 : 영원의 군주, 더 글로리 등  

    '태양의 후예'와 '도깨비'를 통해 최고의 정점을 찍었지만 최근 작품 '더 킹'은 평행우주와 타임리프를 엉망진창으로 섞어서 망작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더 글로리'로 다시 한 번 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원고료

    • 파리의 연인 (2004) - 회당 3,000만원
    • 도깨비 (2016) - 회당 7,000~8,000만원
    • 미스터 션샤인 (2018 / 최고시청률 18.1%) - 원고료와 계약금을 합해 회당 1억원 이상의 수익. 최소 24억원을 받았을거라 추측되고 있습니다. 
    • 더 킹 (2020 / 최고시청률 8.1%) - 마찬가지로 회당 1억 이상 
    • 더 글로리 (2022) - 회당 1억 이상


    박지은


    작품

    별에서 온 그대, 프로듀사, 푸른 바다의 전설, 사랑의 불시착 등

    표절 논란이 좀 있긴 하지만 모두 협의 없음으로 결론 났습니다. '별에서 온 그대' 는 김경옥 작가의 만화 '설희'를 표절했다고 논란이 되었지만 강경옥 작가가 소송을 취하하면서 마무리 되었습니다. 

    '별에서 온 그대' 모티브는 2007년 영화 '맨 프럼 어스'에서 따 온 것 같습니다. 14,000년을 산 남자의 이야기로 모든 역사적 순간에 그가 있었다는 스토리입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훌륭하게 짜깁기 된 스토리 일 뿐 영화라 볼 수는 없는 작품입니다. 남자와 지인들이 대화만 하는 어떠한 영화적 장치도 없습니다. 

    원고료

    • 사랑의 불시착 (최고시청률 21.7%) - 한국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흥행에 크게 성공하며 더군다나 김은숙 '더 킹'의 실패로 인해 박지은 작가가 최고의 원고료를 받는 작가가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물론 작품의 현실성이나 개연성은 부족하지만 '로맨스'에 특화 된 작가임은 분명합니다.
    • 눈물의 여왕 (2024) - 1억을 훌쩍 넘겨 김은숙 작가와 함께 회당 1억을 받는 투 탑 체제의 작가입니다. 


    인기 작가


    김수현

    1975년부터 활동한 1세대 인기 작가로 회당 7천만-1억원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세대교체가 된 것 같습니다.   

    대표작 - 사랑이 뭐길래, 목욕탕집 남자들, 청춘의 덫

    임성한 

    막장 드라마의 대명사 임성한 작가는 편당 1,800만원 정도로 편 수가 많은 일일드라마 작가이기 때문에 드라마당 최고의 수입을 얻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로라 공주로 '50억원'의 수입을 올렸다고 합니다.

    김은희

    장항준 결혼한 김은희 작가는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의 성공으로 회당 7~8천만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수연

    떠오르는 신성 작가로 '비밀의 숲', '라이프'의 작가입니다. 2017년 첫 작품 '비밀의 숲'이 2020년 8월 시즌 2로 돌아온다고 하니 기대됩니다.


    드라마 작가 평균 수입


    연소득

    하위 25% - 2,044만원 
    상위 25% -  4,377만원

    회당

    일일드라마 - 회당 100만원

    계약금

    계약금은 방송사가 작가에게 주는 인센티브로 회당 수백만원에서 수억원대까지 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