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천박사 퇴마연구소:설경의 비밀" 속의 무속신앙




    천박사 퇴마연구소


    영화 소개

    1) 로그라인 - 대대로 마을 지켜온 당주집 자손 '천박사'는 가짜 퇴마사로 살아갑니다. 어느 날 귀신을 보는 눈을 가진 '유경'으로부터 거액의 의뢰가 들어오고 사건을 쫓다 자신의 과거와 얽혀 있는 '설경'의 비밀과 맞닥뜨리게 되는데...

    2) 감독 - 김성식 감독의 입봉작입니다.

    3) 출연 - 강동원, 이솜, 이동휘

    천박사퇴마연구소

    영화 속 무속신앙


    민속학이란 인간의 습속을 다루는 학문으로 민간신앙, 세시풍속 등을 연구합니다.
    민간신앙은 다시 가신신앙, 마을신앙, 무속신앙 등으로 분류됩니다.

    무당

    신병, 신내림을 통해 무당이 되고 신령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입니다.

    1) 강신무(중부, 북부지역) - 무당과 신이 합일하는 일원적 형식을 취하는 것. 보통 신내림을 받은 무당.
    2) 세습무, 사제무(남부지역) - 신과 무당이 대좌관계를 유지하는 이원적 양상, 문화적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 당주 무당재가집으로부터 굿을 의뢰받아 굿을 담당하는 무당
    3) 박수 - 남자 무당
    4) 영매 -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과 의사가 통하며, 혼령과 인간을 매개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무당이나 박수에 이에 해당합니다.

    무속신앙

    굿

    신을 기쁘게 하여 인간의 소망을 이루어지게 해달라고 비는 춤.
    무당이 신을 청하고 환대하고 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무속의례.
     
    1) 푸닥거리 - '푸닥'은 샤먼을 의미
    2) 무구 - 무당이 굿에 사용하는 도구
    • 작두 : 칼날위에 올라타 무당과 신령이 하나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용도
    • 무령 : 무당이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사용하는 방울
    • 설경 - 창호지에 문양 또는 글자를 새겨 만든 것으로 귀신을 협박하고 잡아 가두는 역할을 하는 종이무구입니다.
    3) 굿의 종류
    • 무신제(신굿) - 무당 자신의 신굿. 내림굿, 신굿, 명두굿, 하직굿이라고도 불림
    • 눌림굿, 누름굿 - 신을 눌러 신병이 난 사람이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굿
    • 씻김굿 - 전라도 지역에서 죽은 이의 부정을 깨끗이 씻어 주어 극락으로 보내는 망자의 천도를 위한 굿
    • 메굿 - 농악에서 징,꽹과리,장구 등의 풍물을 울리는 것
    • 가제 - 민가에서 가족의 안녕과 행운을 빌기 위한 굿
    • 동제 - 마을을 수호하는 동신(洞神)에게 주민들이 정성을 모아 드리는 제의

    용어

    1) 방향 
    • 오방기 - 동, 서, 남, 북, 중앙 다섯방위를 지키는 무속 신장을 상징하는 깃발로 점을 칠 때 사용
      • 빨간색 (남방적제신장) : 오방기 중 가장 긍정적인 의미. 소원성취
      • 흰색 (서방백제신장) : 신령, 조상의 도움
      • 노란색 (중앙황제신장) : 조상의 길을 막는다
      • 초록색 or 검정색 (북방흑제신장) : 질병, 사고, 이별
      • 파란색 (동방청제신장) : 우환
    • 귀문방 - 동양에서 귀신이 드나드는 방향. 불길히 여기고 만사를 꺼리는 방위로 동북방과 서남방  
    2) 살 - 살은 사람이나 물건 등을 해치는 모질고 독한 귀신의 기운을 말합니다.
    • 상문살 - 상가에서 맞는 살을 상문살이라고 하며 갑자기 병이 나거나 급사. 이를 예방하기 위해 대문 앞에서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 뿌려 부정을 막습니다. 
    • 급살 - 귀신이 사람에게 씌우는 나쁜 기운
    • 주당살 - 급살과 비슷한 의미이나 급살보다 촌각을 덜 다투는 상황.
    • 역살 - 거슬러 죽인다는 의미로 살을 내리다 역으로 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귀신
    • 새타니, 태자귀 : 어려서 죽은 아이의 혼으로 무당에게 영험을 내리는 귀신을 말합니다. 
    • 염매 - 남의 집 어린애를 도독해다가 고의로 굶깁니다. 죽통에다 좋은 반찬을 넣어 아이를 꾀어 죽통을 뚫고 들어가려는 순간 칼로 찔러 죽인 후 죽통 주둥이를 막아 정혼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합니다. 이익의 성호사설에는 비참하게 죽은 아이의 귀신을 이용해 협잡을 부리는 수술라고 설명되어있습니다.
    • 객귀 - 집밖이나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혼령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